분류 전체보기68 [React] 컴포넌트의 데이터 관리 ③ - 콜백 함수 2020/08/18 - [Web프런트엔드/리액트] - [React] 리액트 개발환경 구축 2020/09/09 - [Web프런트엔드/리액트] - [React] 리액트 테스트 앱 생성 및 수정 2020/09/11 - [Web프런트엔드/리액트] - [React]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JSX 2020/09/11 - [Web프론트엔드/리액트] - [React] 리액트의 컴포넌트를 알아보자 2020/09/15 - [Web프론트엔드/리액트] - [React] 컴포넌트의 데이터 관리 ① - props 프로퍼티 2020/09/19 - [Web프론트엔드/리액트] - [React] 컴포넌트의 데이터 관리 ② - state 스테이트 지난 시간에 state 기능으로 내부 데이터를 관리해봤습니다. 하지만 부모(App) 컴포넌트는 .. 2020. 9. 21. [React] 컴포넌트의 데이터 관리 ② - state 스테이트 2020/08/18 - [Web프런트엔드/리액트] - [React] 리액트 개발환경 구축 2020/09/09 - [Web프론트엔드/리액트] - [React] 리액트 테스트 앱 생성 및 수정 2020/09/11 - [Web프론트엔드/리액트] - [React]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JSX 2020/09/11 - [Web프론트엔드/리액트] - [React] 리액트의 컴포넌트를 알아보자 2020/09/15 - [Web프론트엔드/리액트] - [React] 컴포넌트의 데이터 관리 ① - props 프로퍼티 지난 포스팅에는 프로퍼티를 이용해 서로 다른 컴포넌트간의 데이터 관리를 배웠습니다. 하지만 프로퍼티는 변경이 불가능한 읽기전용이며, 부모에서 자식으로만 전달이 가능했습니다. 이번에는 컴포넌트의 내부 데이터(상태)를.. 2020. 9. 19. [ES6] 템플릿 문자열 (Template String) 2020.09.16 - [웹 프론트엔드/자바스크립트] - [ES6] 화살표 함수와 커링 디자인 패턴 오늘은 가볍게 템플릿 문자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존 자바스크립트의 병합 연산자(+)입니다. var val1 = "코로나"; var val2 = 9; console.log(val1 + val2); // 코로나9 var val3 = 10; console.log(val1 + val2 + val3); // 코로나910 console.log(val1 + (val2 + val3)); // 코로나19 이처럼 기존 병합 연산자는 플러스 기호를 쓰기 때문에 문자형과 숫자형의 연산이 알아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문자열 안에 계산식을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코드가 길어지고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디버깅 지옥 오픈) .. 2020. 9. 18. VSCode에서 테스트 웹페이지 디버깅 환경 실행 웹 개발을 공부하시는 분이나 아니면 테스트 웹페이지를 만들어서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VSCode에서 디버깅모드로 실행하는 법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곳에 폴더를 하나 만듭니다. 저는 이렇게 만들었습니다. C:\Users\Com\OneDrive\Documents\web_test_page 먼저 자바스크립트 파일부터 만들어 보겠습니다. 저는 test.js 파일을 만들고 밑에 있는 것처럼 코딩했습니다. var i = 0; for (i = 0; i < 10; i++) { document.write("Hello, World!"); document.write(" "); console.log("i : " + i); } 아주 간단하게 반복문으로 ("Hello, World!")를 브라우저에 뿌려주.. 2020. 9. 18. [ES6] 화살표 함수와 커링 디자인 패턴 2020.09.05 - [웹 프론트엔드/자바스크립트] - [ES6] 전개 연산자(spread operator) 사용법 화살표 함수 ES6에 새로 추가된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는 함수 표현을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기존 함수 사용과 화살표 함수 표현식을 비교해보고, 그것을 응용한 커링 디자인 패턴을 보겠습니다. // 기존 function plusFunc(num1, num2) { return num1 + num2; } var plusFunc = function (num1, num2) { return num1 + num2; }; // ES6 var plusFunc = (num1, num2) => { return num1 + num2; }; var plusFunc = (num1, num2).. 2020. 9. 16. [React] 컴포넌트의 데이터 관리 ① - props 프로퍼티 2020.08.18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 개발환경 구축 2020.09.09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 테스트 앱 생성 및 수정 2020.09.11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JSX 2020.09.11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의 컴포넌트를 알아보자 1. 프로퍼티로 데이터 전달해보기 전 포스팅에서 기본적인 리액트 컴포넌트 사용법을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서로 다른 컴포넌트 간의 데이터를 관리할까요? 이번에는 프로퍼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아 보겠습니다. // ..\test_project\src\components\ChildCompo.. 2020. 9. 15. [React] 리액트의 컴포넌트를 알아보자 2020.08.18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 개발환경 구축 2020.09.09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 테스트 앱 생성 및 수정 2020.09.11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JSX 1. 컴포넌트란 무엇인가? 리액트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컴포넌트는 한마디로 "레고 블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가 필요한 여러 블록을 만들어 놓고, 그것을 조립 조합하여 완성된 제품을 만듭니다. 2. 간단한 컴포넌트 구현 전에 포스팅했던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JSX]를 기반으로 작성해보겠습니다. 먼저 본인의 프로젝트 루트폴더(여기서는test_project)의 src폴더 안에 components폴.. 2020. 9. 11. [React]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JSX 2020.08.18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 개발환경 구축 2020.09.09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 테스트 앱 생성 및 수정 간단한 JSX 사용해보기 JSX (JavaScript XML)는 자바스크립트에 XML을 추가 확장한 문법입니다. HTML에서 XML로 다시 JS + XML이 바로 JSX입니다. 참 간단하죠? 상기한 테스트앱 생성 글을 기반으로 JSX 사용해보겠습니다. 먼저 App.js 파일을 열고 하기와 같이 수정합니다. // ..\test_project\src\App.js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2020. 9. 11. [React] 리액트 테스트 앱 생성 및 수정 리액트 개발환경 구축이 안 된 분들은 아래 링크 참조 2020.08.18 - [웹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 [React] 리액트 개발환경 구축 1. 테스트 프로젝트 생성 및 구동 예시는 윈도우 환경과 상기한 개발환경이 구축됐다는 전제로 쓰겠습니다. 먼저 명령 프롬프트(cmd)를 열고 하기와 같이 입력합니다.(프로젝트명은 test_project) yarn create react-app test_project 이런 식으로 기본 프로젝트 골격이 자동으로 완성됩니다. 그다음은 프로젝트 루트 폴더(test_project) 이동해서 yarn start 기본 포트는 3000번이지만 사용중일 경우 다른 포트 번호도 기동 가능합니다. 본인이 사용하는 기본 브라우저에 로컬호스트 주소로 위 화면처럼 나오면 성공! .. 2020. 9. 9. 이전 1 ··· 4 5 6 7 8 다음